천은사
- 위치:
-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 209
- 문의안내:
- 061-781-4800
- 홈페이지:
- 바로가기
개요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지리산 일주도로 입구에 위치한 사찰로 828년(신라 흥덕왕 3년) 덕운조사와 인도의 중「스루」가 터를 닦고 절을 지어 처음에는 절이름을 감로사(甘露寺)라 하였다. 경내에 이슬처럼 맑고 차가운 샘이있어 감로사라 했는데, 이 물을 마시면 흐렸던 정신도 맑아진다 하여 많은 스님들이 몰려들어 한때는 천명이 넘는 스님이 지내기도 했고, 고려 충렬왕 때에는‘남방 제일 사찰’로 승격되기도 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중건할 때 샘가에 큰 구렁이가 자주 나타나기에 잡아 죽였더니 샘이 솟아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샘이 숨었다 하여 조선 숙종 4년(1677년)부터 천은사라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상하게도 이름을 바꾼 후부터 원인 모를 화재가 잦고, 재화가 끊이지 않았았고 주민들도 절의 수기를 지켜주는 뱀을 죽였기 때문이라며 두려워하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조선 4대 명필의 한 사람인 원교 이광사가‘지리산 천은사’라는 글씨를 물 흐르는 듯한 서체로 써서 걸었더니 이후로는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새벽녘 고요한 시간에는 일주문 현판 글씨에서 물 흐르는 소리가 은은하게 들린다고 하는데 그러고 보면 일주문은 절의 귀중한 내력을 담고 있다.
정보제공
구례군 문화관광과
이용안내
홈페이지 | http://www.choneunsa.org/ |
---|---|
개방시간 | 08시 00분 ~ 18시 00분 |
휴무일 | 연중무휴 |
장애인편의시설 | - |
유모차대여유무 | - |
애완동물동반유무 | - |
주차시설 | - |
교통안내
- 대중교통 이용할때
- 구례공영버스터미널에서 성삼재행 군내버스 탑승후 천은사에서 하차 (약20분 소요)
- 자동차를 이용할때
- [서울]
- 버스 : 남부터미널에서 출발, 구례에서 하차(3시간 10분 소요)
- 열차 : 용산역에서 출발, 구례구역에서 하차(2시간 20분~4시간 30분 소요)
- 승용차
① 경부ㆍ천안ㆍ순천완주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구례화엄사 IC로 진출(3시간 소요)
② 중부ㆍ경부ㆍ호남(지선)ㆍ순천완주고속도로를 이용하여 구례화엄사 IC로 진출
(3시간 30분~4시간 30분 소요)
- 항공기 : 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 여수공항 또는 광주공항 도착(약 55분 소요)
→ 버스나 택시 이용(40분 소요)
[인천]
- 버스 : 인천종합터미널에서 출발, 구례에서 하차(4시간 소요)
- 열차 : 인천공항역에서 출발, 구례구역에서 하차(약 3시간 30분 소요)
- 항공기 : 김포국제공항에서 여수공항이나 광주공항에 도착(약 50분 소요)
- 자동차 : 서해안고속도로→천안논산고속도로 → 순천완주고속도로 이용→ 구례화엄사IC로 진출
[부산]
- 버스 : 서부버스터미널에서 출발, 구례에서 하차(3시간 소요)
- 열차 : 부전역에서 출발, 순천에서 구례가는 열차로 환승
- 승용차
① 남해고속도로 이용, 하도IC로 진출 후 19번 국도 이용(2시간 소요)
② 남해ㆍ순천완주간 고속도로 이용, 황전IC 또는 구례화엄사IC로 진출(2시간 소요)
[광주]
- 버스 :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 이용, 곡성 경유 구례 도착
- 승용차
① 호남ㆍ광주대구간ㆍ순천완주간 고속도로 이용, 구례화엄사IC로 진출(1시간 10분 소요)
② 호남고속도로 이용, 곡성IC로 진출 후 27ㆍ17번 국도 이용(1시간 10분 소요)
[구례]
구례읍 → 19번 국도 순천 방면 → 861번 지방도 천은사 방면 → 천은사
◎내비게이션 주소 : 전라남도 광의면 노고단로 209